2022년 환경정보 등록 항목별 정보
환경정보 등록 항목별 작성정보
기업개요
  • 전략 및 녹색경영 시스템
  • 자원/에너지
  • 온실가스/환경오염
  • 녹색제품/서비스
  • 사회/윤리적 책임
  • 이동

    업종, 생산제품, 매출액, 종업원수

    업종, 생산제품, 매출액, 종업원수
    사업장명 현대성우캐스팅(주)충주1공장 대표자 대표이사
    업종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생산제품 자동차 알루미늄 휠
    매출액 751,636 ( 단위 : 백만원 ) 전년대비 108.1% (증가↑)
    국내종업원수 335 명 전년대비 10.9% (증가↑)

    본사 / 사업장 현황

    본사 / 사업장 현황
    구분 사업장명 주소 주요생산품
    대표사업장 현대성우캐스팅(주)충주1공장 충청북도 충주시 충주호수로 344 용탄동 자동차 알루미늄 휠

    수상현황

    수상현황

    인증현황

    인증현황
    내용 ISO 14001 인증
    인증범위 :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의 설계 , 개발 및 생산
    주관 Kfq
    날짜 2021.03.09 - 2024.03.08
    내용 ISO 45001 인증
    인증범위 :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의 설계 , 개발 및 생산
    주관 Kfq
    날짜 2022.11.25 - 2025.11.24

    협약현황

    협약현황
    내용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자발적 온실가스·미세먼지 감축협약
    날짜 2022.01.01 - 2022.12.31

    녹색경영 비전 및 전략

    녹색경영 비전 및 전략
    내용 [환경방침] 환경경영활동의 생활화
    1. 환경 안전관련 법규 준수
    2. 지속적 환경개선활동 전개
    3. 쾌적하고 안전한 사업장 구현


    [안전보건방침] 안전문화 정착 및 안전사고 예방
    1. 안전보건관련 법규 ∙ 회사규정 준수
    2. 잠재적 요소 지속적 발굴 제거
    3. 안전보건활동 적극 참여 ∙ 개선
    4. 무사고 ∙ 무재해로 최고수준의 사업장 구현

    첨부파일 환경안전보건방침 캡처.png

    녹색경영 목표 및 계획

    녹색경영 목표 및 계획
    내용 1. 현장 안전점검 강화
    2.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안전교육 실시
    3. 도급사업장 안전관리 강화
    4. 산업재해 감소
    5. 주조/용해공정 온열질환 예방
    6. 중대사고 재해예방을 위한 노사 합동점검
    7. 국소배기장치 추가 설치
    8. 신규작업 및 위험기계 관련 위험성 평가 개선
    9. 안전플러그 개선
    10. 강도율 감소
    11. 대기오염물질 배출 허용기준치 준수
    12. 수질오염물질 배출 허용기준치 준수
    13. 폐절삭유 정제하여 재사용
    첨부파일 2. 환경안전보건 목표관리 프로세스(HSC-EHSP-02 R1)完.pdf

    녹색경영 전담조직 및 업무 · 역할 · 권한

    녹색경영 전담조직 및 업무 · 역할 · 권한
    내용 당사의 녹색경영 목표 수립에 따른 녹색경영 추진 및 개선
    첨부파일 4-1.녹색경영 조직도.jpg

    녹색경영조직별 업무내용 (역할)

    녹색경영조직별 업무내용 (역할)
    부서명 환경안전팀
    업무내용 대기오염 방지시설 관리, 폐기물 관리, 유해화학물질 관리, 녹색경영 총괄 감동
    비고
    부서명 관리팀
    업무내용 녹색경영 전략 수립 및 정보관리
    비고
    부서명 생산기술팀
    업무내용 공장 에너지(LNG, 전기) 사용 관리
    윤활유, 가공유, 기타 폐기물 배출 저감계획 및 관리
    비고
    부서명 연구소(신제품개발팀, 선행개발팀)
    업무내용 친환경 제품 개발
    비고
    부서명 구매팀
    업무내용 친환경재료 검토 및 구매
    비고

    녹색경영 관련 교육훈련

    녹색경영 관련 교육훈련
    교육/훈련명 전문대기 환경기술인 교육 교육주관 환경보전협회
    대상자 김문석 일시 2022.11.25
    교육방법 비대면교육
    주요내용
    1) 대기정책 및 법령 이해와 적용 사례
    2) 미세먼지 저감대책
    3) 오염물질 제어기술
    4) 방지시설 운영관리 기술
    5) 비산배출시설 관리제도
    6) 통합환경관리제도
    7) 악취 및 VOC 제어기술
    첨부파일 전문대기 환경기술인.png
    일반수질환경기술인 교육 수료증.png

    녹색경영 관련 내부심사

    녹색경영 관련 내부심사
    심사주관 환경안전팀
    대상자 전부서 일시 2022.10.04
    주요내용 환경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요구사항 확인
    조치사항 □ 위험성 평가 미흡(세부적인 위험요인 파악 실시가 안됨)
    - 식당 및 경비, 미화 직원(협력업체) 관련 위험도 평가 실시

    □ 안전사고 발생건에 대한 수시 위험성평가가 누락됨
    - 위험성 평가를 토대로 대책 마련하여 근로자 교육 실시

    □ 지게차 후방 안전라이트 훼손으로 운행하여 보행자와 충돌 위험
    - 즉시 업체 요청하여 안전라이트 개선 → 전수 적용(1,2공장)

    □ 지게차 전진등 훼손된 채 운행 중(산업안전보건법 위반)
    - 즉시 업체 요청하여 개선 → 전수 적용(1,2공장)

    □ 위험성 평가 미흡(지게차 관련 위험 파악이 누락)
    - 위험성 평가 수정(단위작업 별 지게차 관련 위험 요인 파악 후 위험성 평가 실시)

    □ 안전보호구 지급 이력 누락
    - 방독마스크, 보안경, 내화학장갑 등 지급 이력 추가

    □ MSDS 갱신(최신화) 미실시
    - MSDS 최신화 및 비치 완료(2공장 폐수처리장, 2공장 전처리실험실)

    □ 지게차 속도제한 장치 훼손된 채 운행중
    - 훼손된 속도제한 장치 개선
    첨부파일 내부심사 결과 보고서.png

    환경안전사고 대응체계

    환경안전사고 대응체계
    내용 소방조직도 첨부
    첨부파일
    Step2_1_File
    Step2_2_File
    Step2_4_File
    Step2_5_File
    Step2_5_File
    Step2_6_File
    Step27_File
    환경안전사고 대응 조직도.pdf
    Step2_7_File
    Step8_1_File
    editor11_1

    환경안전사고대응 조직별 업무내용

    환경안전사고대응 조직별 업무내용
    부서명 지휘반
    업무내용 - 화재발생 시 지휘감독 총괄
    비고
    부서명 경보반
    업무내용 - 화재발생 시 상황전파(화재경보설비 및 자체방송 이용)
    - 소방서 신고 및 구내전파, 유관기관 통보
    비고
    부서명 소화반
    업무내용 - 소화기 및 자체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초기진압 실시
    비고
    부서명 급수반
    업무내용 - 화재 발생 시 소화반 지원
    - 소화전 및 소화용수 설비를 이용하여 화재진압 소방차에 소화용수 공급
    비고
    부서명 대피반출반
    업무내용 - 인명검색 및 구조
    - 화재발생 시 대피유도 및 중요 물품 및 서류 반출
    비고
    부서명 복구반
    업무내용 - 화재진압 시 필용에 따라 공기, 가스, 용수, 전기 등 공급차단
    - 야간 화재진압 시 비상조명 및 기구 설치
    - 화재진압 후 설비 복구
    비고
    부서명 경계반
    업무내용 - 반출된 중요 물품, 서류 도난 및 파손방지
    - 환재현장 출입인원 통제
    - 119 소방차 출동 및 화재진화에 장애요소 제거(교통정리, 소방차 유도)
    비고
    부서명 의료반
    업무내용 - 부상자 및 질식자 응급 치료
    비고
    부서명 후송반
    업무내용 - 화재발생으로 인해 발생한 부상자 병원으로 후송 및 조치
    비고
    부서명 방독반
    업무내용 민방위 업무 수행
    비고
    부서명 훈련반
    업무내용 훈련 시 계획수립 및 실시
    비고

    환경안전사고 대응 모의 훈련

    환경안전사고 대응 모의 훈련
    훈련명 소방합동훈련 훈련대상자 현대성우캐스팅(주) 임직원
    일시 2021.10.13 훈련목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 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 15조에 따른 소방 법정 의무 훈련
    훈련내용 1) 경보훈련
    2) 소화훈련
    3) 피난유도훈련
    4) 의료구호훈련
    5) 방호복구훈련
    첨부파일 소방훈련ㆍ교육 실시 결과 기록부_1공장.pdf

    원부자재 절감 투자 및 기술도입 현황

    원부자재 절감 투자 및 기술도입 현황

    용수절감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용수절감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에너지 절감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에너지 절감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원부자재(누적질량 70% 이상) 사용 실적

    원부자재(누적질량 70% 이상) 사용 실적
    주사용 원료 알루미늄 주사용 원료 외 0 종
    원부자재 사용량
    24,065 ton 전년대비 4.7% (감소↓)

    용수 사용·재활용량 실적

    용수 사용·재활용량 실적
    용수 사용량 143,945 ton 전년대비 4.2% (감소↓)
    용수 재활용량 0 ton 전년도 입력 정보 없음

    에너지원별 사용 실적

    ※ 에너지 사용량 실적(특히, 가스 종)에는 『TOE 환산을 위한 단위』가 사용되어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단위와 다를 수 있습니다. 단위가 다른 경우 계산기를 활용하십시오.

    에너지원별 사용 실적
    에너지 총 사용량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온실가스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온실가스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현황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현황
    온실가스 명세서 비공개

    목표-계획-실적 관리 현황

    목표-계획-실적 관리 현황
    목표 할당량 51,326.3
    세부계획 할당량 51,326.3
    실적 배출량 51,779

    온실가스배출 실적

    온실가스배출 실적
    직접배출량(scopeⅠ) 24,832.321 ton CO2 eq
    전년대비 25.7% (증가↑)
    기업 경계 내에서 에너지 연소 및 산업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고정연소,이동연소,공정 및 탈루 등)
    간접배출량(scopeⅡ) 26,946.968 ton CO2 eq
    전년대비 9.2% (증가↑)
    외부로 부터 구입하는 전기,스팀 등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간접배출량(scopeⅢ) 0 ton CO2 eq
    전년도 입력 정보 없음
    제품의 사용 및 폐기, 구입원료의 생산 등 기타 간접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제품의 사용, 제품 폐기단계의 운송, 구입원료 생산, 직원 출장 및 외부이동 등)
    온실가스배출총량 51,779.289 ton CO2 eq 전년대비 16.5% (증가↑)

    ※ ton CO2 eq 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상대적 수치로 표현한 『지구온난화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의 단위』로써 다양한 온실가스들의 배출량을 CO2 배출량 기준으로 환산한 값 (ex. 이산화탄소(CO2) 1ton 배출 = 1 ton CO2 eq 배출 / 메탄(CH4) 1ton 배출 = 21 ton CO2 eq 배출)

    대기·수질, 폐기물 및 화학물질 관련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대기·수질, 폐기물 및 화학물질 관련 투자 및 기술 도입 현황

    대기오염물질 관리시설 현황

    대기오염물질 관리시설 현황
    시설명 용해로+전로
    종류 흡수에 의한 시설
    용량 700㎥/min*1
    시설명 반사로
    종류 세정집진시설
    용량 500㎥/min*1
    시설명 건조시설
    종류 직접연소에 의한 시설
    용량 25N㎥/min*1
    시설명 탈사시설
    종류 여과집진시설
    용량 150㎥/min*2
    35㎥/min*1
    시설명 도장시설
    종류 여과집진시설
    용량 55㎥/min*2
    120㎥/min*1
    100㎥/min*1
    시설명 탈지시설
    종류 흡수에 의한 시설
    용량 250㎥/min*1
    시설명 보일러*4기
    종류 연소조절에 의한 시설
    용량 30㎥/min*2, 62N㎥/hr*1, 100.6N㎥/hr*1
    시설명 용해로+전로
    종류 원심력집진시설(1차), 흡수에 의한 시설(2차)
    용량 700㎥/min*1, 700㎥/min*1
    시설명 도장시설 +건조시설
    종류 세정집진시설(1차), 여과집진시설(2차), 흡착에 의한 시설(3차), 촉매 연소에 의한 시설(4차)
    용량 1600㎥/min*1, 107㎥/min*1
    시설명 탈지시설, 화성처리시설
    종류 흡수에 의한 시설
    용량 300㎥/min*1

    수질오염물질 관리시설 현황

    수질오염물질 관리시설 현황
    시설명 폐수처리시설
    종류 물리화학적처리시설
    용량 150㎥/day

    화학물질 관리시설 현황

    화학물질 관리시설 현황
    시설명 가성소다 보관시설
    종류 수산화나트륨
    용량 1.4㎥
    시설명 황산 보관시설(전처리B라인)
    종류 황산
    용량 2.9㎥
    시설명 질산 보관시설(전처리B라인)
    종류 질산
    용량 0.5㎥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모니터링 주기 주1회
    모니터링 방법 대기 배출구별 자가측정 대행의뢰(영동환경)

    수질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수질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모니터링 주기 월1회
    모니터링 방법 최종방류수 자가측정 대행의뢰(영동환경)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화학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모니터링 주기 주1회
    모니터링 방법 자체점검을 통한 대장작성 및 관리

    대기오염물질 배출 실적

    대기오염물질 배출 실적
    질소산화물(Nox) 10.415 ton 전년대비 9.6% (감소↓)
    황산화물(SOX) 11.106 ton 전년대비 794.9% (증가↑)
    먼지(PM) 5.799 ton 전년대비 53.7% (증가↑)
    대기오염물질
    총배출량
    27.32 ton 전년대비 65.2% (증가↑)

    ※ 질소산화물(NOx)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산성비 및 오존층 파괴에 영향을 미치며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함

    ※ 황산화물(SOx)란?
    황과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산성비의 원인이 되거나 사람의 몸속에 점막에 작용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킴

    ※ 먼지(PM, Particulate Matter)란?
    대기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로서 천식, 호흡곤란, 비 또는 눈 속의 중금속 농도 증가의 원인이 되며 식물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미침

    수질오염물질 배출 실적

    수질오염물질 배출 실적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0.121 ton 전년대비 61.8% (감소↓)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0.231 ton 전년대비 37.6% (감소↓)
    총유기탄소(TOC) 0.127 ton 전년대비 ∞% (증가↑)
    부유물질(SS) 0.111 ton 전년대비 53.1% (감소↓)
    총질소(T-N) 0.153 ton 전년대비 51.4% (감소↓)
    총인(T-P) 0.009 ton 전년대비 50.6% (감소↓)
    수질오염물질
    총배출량
    0.752 ton 전년대비 40.1% (감소↓)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란?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 기간 동안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을 의미하며, COD와 함께 물의 오염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됨

    ※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란?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제로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 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의미하며, BOD와 함께 물의 오염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됨

    ※ 총유기탄소량(TOC, Total Organic Carbon)란?
    유기물질 측정지표 중 하나로 시료를 고온으로 태우는 등의 방법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탄소량으로 표현

    ※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란?
    입자 지름이2mm 이하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일컫는 말로 오염된 물의 수질을 표시하는 지표

    ※ 총질소(T-N, Total Nitrogen)란?
    무기성 질소 및 유기성 질소의 총량을 말하며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

    ※ 총인(T-P, Total Phosphorus)란?
    하천,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물속에 포함된 인의 총량

    폐기물 배출·재활용 실적

    폐기물 배출·재활용 실적
    일반폐기물 208.46 ton 전년대비 9.5% (증가↑)
    지정폐기물 442.2 ton 전년대비 39.9% (감소↓)
    건설폐기물 0 ton 전년도 입력 정보 없음
    폐기물재활용량 213.46 ton 전년대비 55.6% (감소↓)
    폐기물발생 총량 650.66 ton 전년대비 29.8% (감소↓)

    ※ 일반폐기물이란?
    지정폐기물과 건설폐기물을 제외한 폐기물만 해당 (재활용량 포함)

    ※ 지정폐기물이란?
    폐유·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 (재활용량 포함)

    ※ 건설폐기물이란?
    건설공사로 인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로 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건설폐기물에 해당 (재활용량 포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미만의 건설폐기물은 '공사장 생활폐기물'로써 생활폐기물로 취급되며 해당 실적은 일반폐기물에 입력(재활용량 포함)

    화학물질 배출실적

    화학물질 배출실적
    화학물질 배출량 1.136 ton 전년대비 35.3% (증가↑)

    토양 관리시설 현황

    토양 관리시설 현황

    소음진동 관리시설 현황

    소음진동 관리시설 현황

    악취 관리시설 현황

    악취 관리시설 현황

    토양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토양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소음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투자 및 기술도입 현황

    투자 및 기술도입 현황

    친환경설계(에코디자인)현황

    친환경설계(에코디자인)현황

    Type I 인증제품 현황

    Type I 인증제품 현황

    Type II 인증제품 현황

    Type II 인증제품 현황

    녹색구매 지침 운영 현황

    녹색구매 지침 운영 현황

    협력업체 환경정보관리 및 환경성평가 현황

    협력업체 환경정보관리 및 환경성평가 현황

    환경기술 및 교육지원 현황

    환경기술 및 교육지원 현황

    환경사고 발생현황

    환경사고 발생현황

    민원발생 및 대응현황

    민원발생 및 대응현황

    배출부과금 체납사례

    배출부과금 체납사례

    환경관련 법규 위반사례

    환경관련 법규 위반사례

    환경보고서 발간 현황

    환경보고서 발간 현황
    환경보고서 첨부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현황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현황
    지속가능보고서 첨부

    이해관계자 환경정보 요청 대응현황

    이해관계자 환경정보 요청 대응현황 작성하기

    통합정보

    통합정보
    항목
    실적 전년대비 증가율